Tsunayoshi Tsuna Sawada - Katekyo Hitman Reborn 3 'Spring' 카테고리의 글 목록 (5 Page) — 개발하는 핸니
[Spring]스프링 핵심 원리 (기본편) 강의 정리 - 5
·
Spring
🌱Spring - 빈 스코프 📌 빈 스코프란? ✏️"빈 스코프"란 무엇일까? : 지금까지 우리는 스프링 빈이 스프링 컨테이너의 시작과 함께 생성되어서 스프링 컨테이너가 종료될 때 까지 유지된다고 학습했다. 이것은 스프링 빈이 기본적으로 "싱글톤 스코프"로 생성되기 때문이다. 스코프는 번역 그대로 빈이 존재할 수 있는 범위를 뜻한다. "스프링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스코프를 지원한다: 싱글톤: 기본 스코프, 스프링 컨테이너의 시작과 종료까지 유지되는 가장 넓은 범위의 스코프이다.(생명 주기가 가장 긴) "프로토타입": 스프링 컨테이너는 프로토타입 빈의 생성과 의존관계 주입까지만 관여하고 더는 관리하지 않는 매우 짧은 범위의 스코프이다. "웹 관련 스코프" "request":웹 요청이 들어오고 나갈때 까지 유..
[Spring] 스프링 핵심 원리 (기본편) 강의 정리 - 4
·
Spring
🌱Spring - 빈 생명주기 콜백 📌 빈 생명주기 콜백 시작 ✏️빈 생명주기 콜백이란 ? : 스프링 빈이 생성되거나 죽기 일보 직전에 스프링이 빈 안에 있는 메서드를 호출해줄 수 있는 기능 생성되고 나서 초기화할 때 호출하고, 또 빈이 사라지기 일보 직전에 안전하게 종료할 수 있는 메서드를 호출 해주는 등 애플리케이션은 보통 관게형 데이터베이스를 쓰는데, 미리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올라올 때 데이터베이스와 연결을 맺어둔다. (연결하는데 오래 걸리기 때문)고객 요청이 올 때 미리 연결 해놓은 걸 갖다 그대로 재활용 할 수 있음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도 다 미리 끊어주고 서버를 한번에 확 끊으면 불안하니 안전하게 정상적으로 잘 종료처리 할 수 있는 작업등을 스프링이 지원 🔍예제 :간단하게 외부 네트워크에 미리 ..
[Spring] 스프링 핵심 원리(기본편) 강의 정리 - 3
·
Spring
🌱Spring - 싱글톤 컨테이너 📌 웹 애플리케이션과 싱글톤 : 대부분의 스프링 애플리케이션은 웹 애플리케이션이다. 웹 애플리케이션은 보통 여러 고객이 동시에 요청을 한다 (고객 1이 memberService를 요청하면 new memberService를 하며 객체1을 반환, 고객 2가 memberService를 요청하면 new memberService를 하며 객체2를 반환, 고객 3이 memberService를 요청하면 new memberService를 하며 객체3을 반환) = 고객이 3번 요청하면 객체가 3개 생성 됨 AppConfig 객체를 만든 뒤 객체를 두 번 생성함 [결과값] 우리가 만들었던 스프링이 없는 순수한 DI컨테이너인 AppConfig는 요청을 할 때마다 객체를 새로 생성함 고객 트래..
[Spring] 스프링 핵심 원리(기본편) 강의 정리 - 2
·
Spring
🌱Spring - 스프링 컨테이너와 스프링 빈 📌 싱글톤 컨테이너 주의점 ​ ✏️싱글톤 컨테이너 주의점 싱글톤 패턴이든, 스프링 같은 싱글톤 컨테이너를 사용하든, 객체 인스턴스를 하나만 생성해서 공유하는 싱글톤 방식은 여러 클라이언트가 하나의 같은 객체 인스턴스를 공유하기 때문에 싱글톤 객체는 상태를 유지하게 설계하면 안된다. 무상태로 설계해야 한다. (1). 특정 클라이언트에 의존적인 필드가 있으면 안된다. (2). 특정 클라이언트가 값을 변경할 수 있는 필드가 있으면 안된다. (3). 가급적 읽기만 가능해야 한다. (4). 필드 대신에 자바에서 공유되지 않는, 지역변수, 파라미터, ThreadLocal 등을 사용해야 한다. 스프링 빈의 필드에 공유 값을 설정하면 큰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 ​ ✏..
[Spring] 스프링 핵심 원리(기본편) 강의정리 - 1
·
Spring
🌱Spring - 객체 지향 설계와 스프링 📖 스프링이란? "Spring"이란 여러 기술들의 모음이다. 필수적인 기술로 스프링 프레임 워크 와 스프링 부트 가 있다 📖 좋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이란? - 프로그램을 유연하고 변경이 용이하게 만들어야 함 - 다형성을 지키는 것이 중요함 - 인터페이스를 잘 설계하는 것이 좋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 좋은 객체 지향 설계의 5가지 원리(SOLID) SRP: 단일 책임 원칙(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OCP: 개방-폐쇄 원칙 (Open/closed principle) LSP: 리스코프 치환 원칙 (Liskov substitution principle) ISP: 인터페이스 분리 원칙 (Interface segregation pri..
[Spring] 스프링 핵심 원리(기본편) 강의 정리 - 0
·
Spring
🌱Spring - 스프링 핵심 원리 📖 다형성의 실세계 비유:역할과 구현으로 세상을 구분 대표사진 삭제1. 자바 언어의 다형성을 활용역할 = 인터페이스구현 =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 구현 객체(공연 무대를 예로 들자면 로미오의 역할(인터페이스)를 장동건, 원빈등 다양한 배우(구현체)가 소화할 수 있다. 역할은 그대로지만 배우는 다양하게 바뀔 수 있다는 것.) 2. 객체를 설계할 때 역할과 구현을 명확히 구현해야 함 3. 객체 설계시 역할(인터페이스)을 먼저 부여하고, 그 역할을 수행하는 구현 객체를 만들기 ​​📖 객체의 협력이라는 관계부터 생각하자 혼자 있는 객체는 없다.클라이언트는 "요청"이고 서버는 "응답"이며 수 많은 객체 클라이언트와 객체 서버는 서로 협력 관계를 가진다.이후의..
[Spring]강의 들으며 헷갈리는 JAVA 문법 정리
·
Spring
📎 강의 들으며 헷갈리는 JAVA 문법 정리 📌객체와 인스턴스가 헷갈려요 :객체와 인스턴스가 헷갈릴 때는 아래의 동영상도 참고하자 https://www.youtube.com/watch?v=nHR1hfIrBwI 🙋🏻‍♀️클래스, 객체, 인스턴스는 각각 무엇인가요 ? 💡클래스 : 객체(Object)를 만들어 내기 위한 틀이며, 만들어 낼 객체의 속성(변수 등)과 메서드의 집합을 담아놓은 것 입니다. 객체 : 클래스로부터 만들어지는 실체, 클래스로 선언된 변수를 객체라 합니다. Foo f1 = new Foo() => “f1 객체 생성” 인스턴스: 객체가 메모리에 할당이 된 상태. 런타임에 구동되는 객체를 말합니다. 사진의 person a = new Person(); 코드는 객체를 생성함과 동시에 인스턴스로 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