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sunayoshi Tsuna Sawada - Katekyo Hitman Reborn 3 'Spring' 카테고리의 글 목록 (4 Page) — 개발하는 핸니
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Bean Validation]
·
Spring
👩‍💻 검증2 - Bean Validation 📌Bean Validation 소개 ✏️Bean Validation이란? : 검증 기능을 지금처럼 매번 코드로 작성하는 것은 상당히 번거롭다. 특히 특정 필드에 대한 검증 로직은 대부분 빈 값인지 아닌지, 특정 크기를 넘는지 아닌지와 같이 매우 일반적인 로직이다. Bean Validation은 쉽게 이야기해서 검증 애노테이션과 여러 인터페이스의 모음이다. 📌Bean Validation 사용 방법 ✏️Bean Validation 의존관계 추가 :Bean Validation을 사용하려면 다음 의존관계를 추가해야 한다. ✏️Item 클래스에 "검증 애노테이션" 추가 **검증 애노테이션** @NotBlank: 빈값 + 공백만 있는 경우를 허용하지 않는다. @NotN..
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Validation]
·
Spring
👩‍💻 검증1 - Validation 📌검증 요구사항 ✏️검증 요구사항을 파악해보자 : 지금까지 만든 웹 애플리케이션은 폼 입력시 숫자를 문자로 작성하거나해서 검증 오류가 발생하면 오류 화면으로 바로 이동한다. 웹 서비스는 폼 입력시 오류가 발생하면, 고객이 입력한 데이터를 유지한 상태로 어떤 오류 가 발생했는지 친절하게 알려주어야 한다. 컨트롤러의 중요한 역할중 하나는 HTTP 요청이 정상인지 검증하는 것이다. 📌검증 성공과 실패 로직 차이 ✏️검증 (Validation) 기능 학습 :검증 (Validation) 기능을 학습해보자 "상품 저장에 성공했을 시" 서버에서는 검증 로직이 통과하고, 상품을 저장하고, 상품 상세 화면으로 redirect한다. "상품 저장에 실패했을 시" 고객이 상품 등록 폼에서..
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 4
·
Spring
👩‍💻 MVC 프레임워크 만들기 📌스프링 MVC 전체 구조 ✏️직접 만든 MVC 프레임워크와 스프링 MVC를 비교해보자. :사진 참고 직접 만든 프레임워크 스프링 MVC 비교 ㅇ FrontController ➜ DispatcherServlet ㅇ handlerMappingMap ➜ HandlerMapping ㅇ MyHandlerAdapter ➜ HandlerAdapter ㅇ ModelView ➜ ModelAndView ㅇ viewResolver ➜ ViewResolver ㅇ MyView ➜ View ✏️DispatcherServlet 구조 : org.springframework.web.servlet.DispatcherServlet 스프링 MVC도 프론트 컨트롤러 패턴으로 구현되어 있다. 스프링 MVC의 ..
[Spring] 스프링 MVC 1편,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 4
·
Spring
👩‍💻 MVC 프레임워크 만들기 📌프론트 컨트롤러 패턴 소개 ✏️프론트 컨트롤러 패턴에 대한 소개 :프론트 컨트롤러 도입 전과 후 "FrontController 패턴 특징" 1. 프론트 컨트롤러 서블릿 하나로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음 2. 프론트 컨트롤러가 요청에 맞는 컨트롤러를 찾아서 호출 3. 입구를 하나로! 4. 공통 처리 가능 5. 프론트 컨트롤러를 제외한 나머지 컨트롤러는 서블릿을 사용하지 않아도 됨 📌서블릿으로 회원 관리 웹 애플리케이션 만들기 ✏️프론트 컨트롤러 도입 - v1 :프론트 컨트롤러 단계적 도입 "v1의 구조" ✏️ControllerV1.interface 서블릿과 비슷한 모양의 컨트롤러 인터페이스를 도입한다. 각 컨트롤러들은 이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면 된다. 프론트 트롤러는 이 인터..
[Spring] 스프링 MVC 1편,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 3
·
Spring
👩‍💻 서블릿, JSP, MVC 패턴 📌회원 관리 웹 애플리케이션 요구사항 ✏️회원 관리를 하는 웹 애플리케이션을 "서블릿"을 통해 만들어보자 "회원 정보" 이름 = username, 나이 = age "기능 요구사항" 1. 회원 저장 2. 회원 목록 조회 ✏️회원 도메인 (domain) : id는 Member를 회원 저장소에 저장하면 회원 저장소가 할당 함 ✏️회원 저장소(repository) 회원 저장소는 "싱글톤 패턴"을 적용함 (스프링 빈을 사용하면 스프링 빈으로 등록하면 되지만, 지금은 최대한 스프링 없이 순수 서블릿 만으로 구현함) 싱글톤 패턴은 객체를 단 하나만 생성하고 공유해야 하므로 생성자를 private 접근자로 막아두었다. ✏️회원 저장소 테스트 코드 :Member와 MemberRepo..
[Spring] 스프링 MVC 1편,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 2
·
Spring
👩‍💻 웹 애플리케이션 이해 📌HttpServletRequest - 기본 사용 ✏️서블릿 기본 서블릿을 사용하기 위해 WebServlet 애노테이션을 사용하고 서블릿의 이름 (name)과 urlPatterns 를 정해준다. 이때 name과 urlPatterns는 똑같아선 안된다. 서블릿은 request 객체를 알아서 만들어주어 HTTP 요청을 보내고, response를 만들어 HTTP 응답을 가져온다. ✏️Request의 StartLine 정보 ✏️Request의 Headers 정보 ✏️Request의 Header의 편의 정보 ✏️Request의 기타 정보 📌HTTP 요청 데이터 - 개요 ✏️HTTP 요청 메시지를 통해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데이터를 보내는 방법을 알아보자 GET - 쿼리 파라미터 /ur..
[Spring] 스프링 MVC 1편,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 1
·
Spring
👩‍💻 웹 애플리케이션 이해 📌 웹 서버,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웹의 기본 동작 웹은 보통 브라우저에서 URL을 치면 인터넷을 통해 서버에 접근하고, 서버는 그에 맞는 HTML을 만들어 클라이언트에게 만들어주게 된다. 그때 "클라이언트 -> 서버 데이터 전송" 할 때, " 서버 -> 클라이언트 데이터 전송" 할 때 모두 HTTP라는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한다. HTTP는 거의 모든 형태(이미지, JSON, 비디오, 서버간의 데이터 통신)의 데이터를 전송 가능하다. ✏️웹 서버란? :웹 서버(Web Server) HTTP 기반으로 동작 정적 리소스 제공, 기타 부가기능 HTML, CSS, JS, 이미지 영상 등 프로그래밍이 들어가있지 않은 정적 리소스 제공 Ex) Apache, Nginx ✏️웹 애플..
[Spring]강의 들으며 헷갈리는 Spring 용어 정리
·
Spring
📎 강의 들으며 헷갈리는 Spring 용어 정리 📌스프링 컨테이너(Spring Container) :스프링 컨테이너에 대해 헷갈릴 때는 아래의 링크를 참고하자. https://ittrue.tistory.com/220 🙋🏻‍♀️스프링 컨테이너(Spring Container)가 무엇인지 헷갈려요 💡스프링 컨테이너(Spring Container)은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핵심 컴포넌트입니다 ! 스프링 컨테이너는 "자바 객체의 생명주기를 관리"하고, 생성된 "자바객체에게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하기도 하죠. 스프링에서 자바 객체는 "Bean"이라고 합니다. 즉, 스프링 컨테이너는 Bean의 생명주기를 관리(Bean의 생성과 관리 및 제거)하고, 생성된 Bean에게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 합니다. 스프링 컨테이너는 x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