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sunayoshi Tsuna Sawada - Katekyo Hitman Reborn 3 'AWS' 태그의 글 목록 — 개발하는 핸니
[AWS] S3 기초 + 설정 + SpringBoot 연결
·
카테고리 없음
들어가기 앞서 . . .AWS S3에 대해서 공부를 했다.그 전에 웹 서비스를 개발하며 파일을 저장할 때 AWS S3을 사용해본 경험이 있다.하지만 이미 다른 팀원이 설정해놓고 구현해놓은 AWS S3를 사용했기때문에 S3가 어떤 기능을 제공하는 지 정도만 대충 알고있었지 직접 S3를 설정하고 코드로 구현해본 적은 없었다.이번 기회에 S3에 대해 공부하고 실습까지 진행해 볼 예정이다. AWS S3S3란?S3란 한 줄로 요약하자면 “파일 저장 서비스이다.”우리가 핸드폰을 사용하면서 구글 드라이브, 네이버 MyBox를 사용하여 파일이나 이미지를 저장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드라이브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면 된다.S3를 왜 사용하는걸까?백엔드 서버를 구현하다보면 커뮤니티 등, 이미지 업로드 기능을 구현해야할 때가..
[AWS] RDS 이론 + 설정하기
·
카테고리 없음
들어가기 앞서 . . .웹 서비스를 운영하면서 보안을 강화하는 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이다. 특히 사용자의 데이터가 오가는 API 서버에서는 HTTPS 적용이 필수적이다. 저번 강의에서 ELB 셋팅 후 ELB에 별칭을 설정해 도메인 연결까지 해주었다. 이번 글에서는 AWS의 ELB와 ACM(AWS Certificate Manager)를 활용하여, 도메인에 SSL 인증서를 발급하고 HTTP → HTTPS 리디렉션까지 설정하는 전체 과정을 진행해보고자 한다. RDS란?RDS(Relational Database Sevice)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이다. MySQL, MariaDB등 여러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를 AWS로부터 빌려서 사용하는 형태이다. RDS를 왜 사용해야할까?로컬환경에서 개발할 때는 ..
[AWS] HTTPS 적용하기
·
AWS
들어가기 앞서 . . .웹 서비스를 운영하면서 보안을 강화하는 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이다. 특히 사용자의 데이터가 오가는 API 서버에서는 HTTPS 적용이 필수적이다. 저번 강의에서 ELB 셋팅 후 ELB에 별칭을 설정해 도메인 연결까지 해주었다. 이번 글에서는 AWS의 ELB와 ACM(AWS Certificate Manager)를 활용하여, 도메인에 SSL 인증서를 발급하고 HTTP → HTTPS 리디렉션까지 설정하는 전체 과정을 진행해보고자 한다. SSL/TLS를 발급해보자 HTTP를 HTTPS로 바꾸기 위한 인증서 발급을 해보도록하자.Certificate Manager는 SSL/TLS 인증서를 발급 및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검색해서 들어가자. 인증서 요청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뜨는데..
[AWS] ELB 배포한 Spring Boot 서버와 연결하기
·
AWS
들어가기 앞서 . . .EC2에 배포한 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에 로드 밸런서를 연동하고자 했다.로드 밸런서는 트래픽 분산 역할 외에도 연결된 서버가 정상인지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헬스 체크 기능이 있다.이번 글에서는 Spring Boot 서버에 헬스 체크 API를 설정하고, 로드 밸런서가 이 API를 통해 인스턴스의 상태를 확인하도록 구성하고, 로드 밸런서를 통해 연결한 EC2 서버로 접속해보자.ELB 헬스체크하기전에 배포해두었던 EC2 인스턴스를 연결해서 들어가자. 우선 상태체크를 하는 api를 만들어야하기때문에 Build.gradle에 아래 코드를 추가해준다.#터미널에서 build.gradle 파일을 수정$ vim build.gradlei를 누르면 파일에 문자를 삽입할 수 있다. 아래의 코..
[AWS] ELB 셋팅하기
·
AWS
들어가기 앞서 . . .AWS 강의를 들으며, 로드 밸런서 관련 내용을 블로그에 남기고자 게시글을 작성하게되었다.EC2, 보안 그룹, 리스너 및 대상 그룹 설정까지 ELB를 사용하기 위해 세팅을 하고 이후 실습까지 진행해보자! 기본 구성 세팅AWS에 EC2를 검색해 들어간 뒤, 카테고리에서 로드밸런서 들어간다.로드밸런서를 생성해준다. 로드밸런서가 3가지 유형이 존재한다.실습에서는 Application Load Balncer를 사용할 예정이다.로드 밸런서 이름을 입력해주고 체계와 IP 주소 유형은 아래와 같이 구성한다. IPv4와 IPv6의 차이는 무엇일까?우리가 기존에 알고있는 IP 형태는 IPv4이다.13.211.211.211 이런식으로 구성되는데, 전 세계적으로 IPv4를 사용하다보니 IPv4의 고..
[AWS]ELB와 SSL/TLS & HTTPS 기초지식
·
AWS
들어가기 앞서 . . .전 포스팅에서 배포한 서비스에 도메인을 연결하여 IP주소가 아닌 도메인으로 배포된 웹사이트를 확인할 수 있었다.이제 HTTPS를 연결해야한다. HTTPS를 연결하기 전에 HTTPS의 기초지식과, 왜 HTTPS를 사용해야하는 지 알아보자. AWS ELB(Elastic Load Balancer)ELB(Elastic Load Balancer)란?ELB란 한마디 요약해서 트래픽(부하)을 적절하게 분배해주는 장치이다.이렇게 트래픽(부하)을 적절하게 분배해주는 장치를 전문적으로 로드밸런서(Load balancer)라고 부른다.서버 2대 이상을 가용할 때 ELB를 필수적으로 도입하게 된다. ELB를 활용한 아키텍처 구성ELB 도입 전 아키텍처를 확인하자전에 해오던 실습은 사용자가 EC2의 IP..
[AWS]Spring Boot 서버 EC2에 배포하기
·
카테고리 없음
들어가기 앞서 . . .지난 포스팅에서는 EC2가 뭔지, 왜 쓰는 건지, 그리고 어떻게 기본 세팅을 하는지를 하나하나 따라가면서 정리해봤다.처음 접하는 사람에게는 생소할 수 있지만, EC2는 결국 ‘AWS에서 내가 쓸 수 있는 리눅스 컴퓨터 한 대를 빌리는 것’이라는 점만 이해하고 넘어가면 꽤 흥미롭다. 이번에는 그 EC2에 내가 만든 SpringBoot 서버를 올려볼 차례다. SpringBoot 서버 EC2에 배포하기EC2 인스턴스를 생성한 뒤, Spring Boot를 실행하기 위한 JDK를 설치해야한다.필자는 Spring Boot 3.x.x 버전을 사용할거기때문에 JDK는 17버전을 설치할 것이다.$ sudo apt update && /sudo apt install openjdk-17-jdk -y s..
[AWS]AWS EC2 설정하기
·
AWS
들어가기 앞서 . . .클라우드 환경에서 내 서비스를 배포하고 싶을 때 가장 많이 쓰는게 AWS EC2 인스턴스이다.저번 포스팅에서 EC2 기초 지식을 공부했으니 이번엔 EC2를 처음 써보는 사람도 쉽게 따라올 수 있도록 기본적인 세팅 과정을 설정해보자. AWS EC2 기본 세팅 설정하기EC2 서비스 검색AWS 콘솔레 로그인한 뒤, 상단 검색창에 EC2라고 검색한다.검색 결과에서 EC2를 클릭하면 가상 서버를 만들 수 있는 대시보드로 이동한다. 왼쪽 상단 또는 우측 상단에 현재 선택된 리전을 확인하고, 서비스 사용자들이 많은 지역이나 비용/지연시간을 고려해서 설정하도록하자.리전에 대한 설명은 전 포스팅에서 확인할 수 있다. EC2 서비스 검색이제 본격적으로 가상 서버(EC2 인스턴스)를 만들어보자.EC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