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sunayoshi Tsuna Sawada - Katekyo Hitman Reborn 3 개발하는 핸니 — 개발하는 핸니
[Github Actions] CI/CD를 구축해 자동 배포를 해보자.
·
Github Actions
들어가기 앞서 . . .CI/CD는 말로만 들었을 땐 어렵게 느껴졌지만, 실제로는 반복적인 배포 과정을 자동화해주는 매우 실용적인 도구라는 점에서 흥미가 생겼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단순한 코드 실행부터 Secrets 처리까지 하나씩 실습하며 CI/CD의 구조와 개념을 직접 경험해보자.Github ActionsGihub Actions의 전체 구조Github Actions는 Event, Workflow, Job, Step으로 구성된다.예를 들어 push, pull_request 등의 행위(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 이벤트에 반응하여 Workflow가 실행된다. 하나의 Workflow는 여러 개의 Job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Job은 서로 다른 실행 환경(런너)에서 병렬로 실행될 수도 있다.여기서 말하..
[Github Actions] 배포 자동화, CI/CD란?
·
Github Actions
들어가기 앞서 . . .CI/CD 실습에 들어가기에 앞서, 단순히 기술을 적용하는 데 그치지 않고 그 이면의 원리와 목적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다.왜 개발자들이 CI/CD를 도입하는지, 어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 어떤 흐름으로 작동하는지를 먼저 이론적으로 정리하고자 한다.이를 통해 실습 과정에서도 단순한 명령어 실행을 넘어서, 각 단계가 갖는 의미를 체감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했다.또한 블로그 포스팅을 통해 학습한 내용을 정리함으로써, 나중에 실무에 적용할 때 참고 자료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정리해보았다. CI/CD란? CI/CD란 Continuous Integration(지속적인 통합), Continuous Deployment(지속적인 배포)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CI/CD는 테스트(..
[AWS] S3 기초 + 설정 + SpringBoot 연결
·
카테고리 없음
들어가기 앞서 . . .AWS S3에 대해서 공부를 했다.그 전에 웹 서비스를 개발하며 파일을 저장할 때 AWS S3을 사용해본 경험이 있다.하지만 이미 다른 팀원이 설정해놓고 구현해놓은 AWS S3를 사용했기때문에 S3가 어떤 기능을 제공하는 지 정도만 대충 알고있었지 직접 S3를 설정하고 코드로 구현해본 적은 없었다.이번 기회에 S3에 대해 공부하고 실습까지 진행해 볼 예정이다. AWS S3S3란?S3란 한 줄로 요약하자면 “파일 저장 서비스이다.”우리가 핸드폰을 사용하면서 구글 드라이브, 네이버 MyBox를 사용하여 파일이나 이미지를 저장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드라이브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면 된다.S3를 왜 사용하는걸까?백엔드 서버를 구현하다보면 커뮤니티 등, 이미지 업로드 기능을 구현해야할 때가..
[AWS] RDS 이론 + 설정하기
·
카테고리 없음
들어가기 앞서 . . .웹 서비스를 운영하면서 보안을 강화하는 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이다. 특히 사용자의 데이터가 오가는 API 서버에서는 HTTPS 적용이 필수적이다. 저번 강의에서 ELB 셋팅 후 ELB에 별칭을 설정해 도메인 연결까지 해주었다. 이번 글에서는 AWS의 ELB와 ACM(AWS Certificate Manager)를 활용하여, 도메인에 SSL 인증서를 발급하고 HTTP → HTTPS 리디렉션까지 설정하는 전체 과정을 진행해보고자 한다. RDS란?RDS(Relational Database Sevice)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이다. MySQL, MariaDB등 여러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를 AWS로부터 빌려서 사용하는 형태이다. RDS를 왜 사용해야할까?로컬환경에서 개발할 때는 ..
[AWS] HTTPS 적용하기
·
AWS
들어가기 앞서 . . .웹 서비스를 운영하면서 보안을 강화하는 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이다. 특히 사용자의 데이터가 오가는 API 서버에서는 HTTPS 적용이 필수적이다. 저번 강의에서 ELB 셋팅 후 ELB에 별칭을 설정해 도메인 연결까지 해주었다. 이번 글에서는 AWS의 ELB와 ACM(AWS Certificate Manager)를 활용하여, 도메인에 SSL 인증서를 발급하고 HTTP → HTTPS 리디렉션까지 설정하는 전체 과정을 진행해보고자 한다. SSL/TLS를 발급해보자 HTTP를 HTTPS로 바꾸기 위한 인증서 발급을 해보도록하자.Certificate Manager는 SSL/TLS 인증서를 발급 및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검색해서 들어가자. 인증서 요청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뜨는데..
[AWS] ELB 배포한 Spring Boot 서버와 연결하기
·
AWS
들어가기 앞서 . . .EC2에 배포한 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에 로드 밸런서를 연동하고자 했다.로드 밸런서는 트래픽 분산 역할 외에도 연결된 서버가 정상인지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헬스 체크 기능이 있다.이번 글에서는 Spring Boot 서버에 헬스 체크 API를 설정하고, 로드 밸런서가 이 API를 통해 인스턴스의 상태를 확인하도록 구성하고, 로드 밸런서를 통해 연결한 EC2 서버로 접속해보자.ELB 헬스체크하기전에 배포해두었던 EC2 인스턴스를 연결해서 들어가자. 우선 상태체크를 하는 api를 만들어야하기때문에 Build.gradle에 아래 코드를 추가해준다.#터미널에서 build.gradle 파일을 수정$ vim build.gradlei를 누르면 파일에 문자를 삽입할 수 있다. 아래의 코..
[AWS] ELB 셋팅하기
·
AWS
들어가기 앞서 . . .AWS 강의를 들으며, 로드 밸런서 관련 내용을 블로그에 남기고자 게시글을 작성하게되었다.EC2, 보안 그룹, 리스너 및 대상 그룹 설정까지 ELB를 사용하기 위해 세팅을 하고 이후 실습까지 진행해보자! 기본 구성 세팅AWS에 EC2를 검색해 들어간 뒤, 카테고리에서 로드밸런서 들어간다.로드밸런서를 생성해준다. 로드밸런서가 3가지 유형이 존재한다.실습에서는 Application Load Balncer를 사용할 예정이다.로드 밸런서 이름을 입력해주고 체계와 IP 주소 유형은 아래와 같이 구성한다. IPv4와 IPv6의 차이는 무엇일까?우리가 기존에 알고있는 IP 형태는 IPv4이다.13.211.211.211 이런식으로 구성되는데, 전 세계적으로 IPv4를 사용하다보니 IPv4의 고..
[자격증] SQLD 1트 합격 후기
·
대외활동
들어가기 앞서 . . .백엔드 개발을 공부하면서 자연스럽게 SQL과 마주할 일이 많아졌다.특히 데이터베이스 설계나 간단한 쿼리 작성은 물론, jQuery 등 프론트와 연동되는 작업에서도 SQL을 다뤄야 할 일이 적지 않았고, 이 과정에서 SQL에 대한 기본기를 제대로 다져야겠다는 필요성을 느꼈다. 또한 이후에 준비할 정보처리기사 실기 시험에서도 SQL의 비중이 높다는 이야기를 많이 들었기에, 시험을 겸해 이참에 SQL 기초를 한번 제대로 잡아보고자 SQLD에 도전하게 되었다. 여기서 강조해서 말하고싶은건, 필자와 같이 지인 3명이 SQLD에 응시했으나 2명은 떨어지고 1명만 붙었다.일주일 공부한 전공자 지인과 한달 공부한 비전공자 지인이 떨어지고 3주 공부한 비전공자 지인 1명이 붙었다. 블로그 포스팅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