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ariaDB 실행 명령어
📌 Docker를 사용해서 MariaDB Container 생성 및 실행
✏️ 컨테이너 생성하기
: Container 생성하기
1️⃣ 명령어

docker run --name {컨테이너 이름} -e MARIADB_ROOT_PASSWORD={'비밀번호'} -p {포트번호:포트번호} -d mariadb
예시) docker run --name mariadb-container -e MARIADB_ROOT_PASSWORD='1234' -p 3307:3306 -d mariadb
2️⃣ 명령어 설명
- docker run: 새로운 컨테이너를 실행합니다.
- --name mariadb-container: 컨테이너의 이름을 "mariadb-container"로 설정합니다.
- -e MYSQL_ROOT_PASSWORD='1234': MySQL의 루트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1234"로 설정합니다.
- -e 옵션은 환경 변수를 설정합니다.
- -p 3307:3306: 호스트의 포트 3307을 컨테이너의 포트 3306에 매핑합니다. 이는 호스트에서 MariaDB 서비스에 접근하기 위한 포트 매핑입니다.
- -d: 컨테이너를 백그라운드에서 실행합니다.
따라서 이 명령어는 "mariadb-container"라는 이름의 MariaDB 컨테이너를 백그라운드에서 실행하고, 루트 비밀번호를 "1234"로
설정하며, 호스트의 3307 포트를 컨테이너의 3306 포트에 매핑하여 외부에서 MariaDB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합니다.
✏️ Docker 컨테이너에서 실행 중인 MariaDB 서비스에 대한 셀 엑세스를 제공
: MariaDB 셀 엑세스
1️⃣ 명령어

docker exec -it {컨테이너 이름} /bin/bash
예시)docker exec -it {컨테이너 이름} /bin/bash
2️⃣ 명령어 설명
- docker exec -it : Docker 컨테이너 내부에서 명령을 실행할 수 있게 함
- -it 옵션은 대화형으로 실행하고 터미널에 입력 및 출력을 연결
- /bin/bash: 컨테이너 내에서 Bash 셸을 실행하라는 것
여기서 docker exec 명령은 Docker 컨테이너 내부에서 명령을 실행할 수 있게 해주며, -it 옵션은 대화형으로 실행하고 터미널에 입력 및 출력을 연결하고 /bin/bash는 컨테이너 내에서 Bash 셸을 실행하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 Docker를 통해서 MariaDB 접속하기
: MariaDB 접속

위의 단계대로 터미널에 입력하면 위와같이 프롬프트(prompt)가 실행되는 것을 볼 수 있다.
1️⃣ 명령어


mariadb -u root -p
위와같이 명령어를 입력하면 Enter password:가 뜨는데 "컨테이너를 생성할 때 지정해줬던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자.
이 예시에서는 1234를 입력하면 된다.
2️⃣ 명령어 설명
- "mariadb": MariaDB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의 이름입니다. 이를 사용하여 MariaDB 서버에 연결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습니다.
- "-u root": "-u" 옵션은 사용자 이름을 지정합니다. 여기서 "root"는 MariaDB 서버에 로그인할 사용자 이름입니다.
- "-p": "-p" 옵션은 사용자에게 암호를 입력하도록 요청합니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비밀번호를 명령어에 직접 입력하지 않고, 대화형으로 입력할 수 있습니다.
이 명령어는 MariaDB 서버에 "root" 사용자로 로그인하라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 명령어를 실행하면 MariaDB 서버에 "root" 사용자로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베이스 생성
: MariaDB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해보자.
1️⃣ 명령어

CREATE DATABASE {데이터베이스 이름}
예시)CREATE DATABASE likelion
2️⃣ 데이터 확인

데이터베이스가 생성된 것을 볼 수 있다 !